모션비스트 1강 수강 완. 예제 복습을 해보겠습니다.
간단한 키프레임과 스피드 그래프 조작을 배웠다.
컴포지션 세팅은 800x600px, Frame Rate 30, Dration 2초로 설정해주었습니다.
버튼이 될 둥근 사각형을 하나 그려줍니다.
컴포지션 패널 아래에 있는 그리드를 켜고 그리면 쉽당.
텍스트 툴을 이용해 버튼 위에 텍스트도 적어줍니다.
커서 ai 파일을 타임라인으로 드래그해줍니다.
Create-> Creat Shapes from Vector Layer로 쉐이프 레이어로 변환해줍니다.
( 변환 후 ai 파일 사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타임라인에서 지워줍니다.)
Creat Shapes from Vector Layer를 하면 에펙에서 직접 그린 것처럼 path가 생긴다.
커서 그래픽을 프레임 밖에 위치시켜준 후 0:00f에 position[p] 키프레임을 하나 잡아줍니다.
10프레임 뒤로 이동해 커서 그래픽을 버튼 위로 옮겨준다. postion에 변화가 생겨서 자동으로 새로운 키프레임이 생김.
25프레임 뒤에서 키프레임을 한 번 더 찍어준다.
버튼을 클릭할 때 커서가 작아졌다 커지는 애니메이션을 추가해줍니다. Scale [s]
20f : Scale 100, 23f :Scale 85, 26f: Scale 100
버튼과 텍스트에도 같은 방법으로 Scale 애니메이션과
버튼의 opacity[t]도 100->85->100으로 키프레임을 추가해줍니다.
커서가 버튼 위로 올라올 때의 버튼 색 변화를 표현해 줍니다.
커서가 버튼 위로 올라오는 타이밍에 키프레임을 하나 추가해주고 2프레임 뒤에서 색을 바꿔줍니다.
같은 방법으로 커서가 버튼을 떠나는 타이밍에 키프레임을 추가, 2프레임 뒤에서 다시 원래 색으로 바꿉니다.
마지막으로 커서의 움직임을 좀 더 자연스럽게 만들어 주기 위해 커서 Position 스피드 그래프를 조절해 줍니다.
커서의 그래프가 직선으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을 곡선으로 바꾸어 주겠습니다. F9를 눌러줍니다.
그래프가 다르게 보인다면 오른쪽 클릭 -> Edit Speed Graph를 눌러주면 됩니다.
F9를 누르면 이렇게 곡선으로 바뀌는데요 속도의 변화가 좀 더 부드러워집니다. (점점 빨라지고 점점 느려지고,,)
조금 더 속도 변화의 완급을 주기 위해 그래프를 만져주고 마무리!
끝!!!
'했었던것.. > 에프터 이펙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프터이펙트에서 만든 작업물 gif로 저장하기 (9) | 2021.07.19 |
---|---|
에프터이펙트 맛보기 (0) | 2021.07.05 |
모션디자인스쿨 Motion Beast 코스 다시 도전! (2) | 2021.07.04 |